경제학자들 절반 이상은 올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1회 인하할 것으로 예상한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미국 경영대학원 시카고 부스와 함께 지난 5월 마지막 주에 미국 경제학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 39명 중 절반 이상인 21명이 올해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횟수를 ‘한 번’으로 예상한다고 답했다고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두 번’을 예상한 이는 9명(23%), ‘한 번도 인하하지 않을 것’이라는 응답은 9명이었다.

지난 3월 조사 때는 ‘두 번 인하’ 예상이 34%, ‘한 번’이 29%, ‘한 번도 안 한다’가 8%였다.

금리인하 전망이 이처럼 후퇴한 것은 물가가 예상보다 높게 유지될 것이라는 예상 때문이다.

개인 소비 지출(PCE) 물가 지수에 대한 설문조사에서는 평균치가 2.8%로 나왔다. 3월 조사 때의 2.5%에서 0.3%포인트 올랐다.

연준의 PCE 목표는 2%이며, 5월 말에 미국 정부가 발표한 4월 PCE 지수는 2.7%였다.

카렌 다이넌 하버드 대학교 교수는 FT에 “최근 나오는 경제지표는 목표치보다 높은 물가가 고착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제기했다”고 말했다.

미국 경제의 연착륙에 대한 기대는 높아졌다.

응답자의 52%는 2026년이나 그 이후까지 경기침체를 겪지 않을 것으로 봤다. 3월 조사 때의 46%보다 증가한 수치다.

첫 금리인하 시기로는 9월을 가장 많이 예상했다. 응답자의 3분의 1이 9월이라고 답했다.

미국 대선이 11월5일 치러지는데 그 이전에 열리는 마지막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처음 금리를 내릴 것으로 본 것이다.

줄리 스미스 라파예트 대학 교수는 “9월에 한 번 금리를 내린 뒤 아마도 미국 대선이 끝나고 연말에 추가 인하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그러나 “올가을 연준의 금리 조정은 미국 정치나 대선에 어떤 영향을 줄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예측이 매우 어렵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