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12일 “물가가 목표 수준으로 수렴할 것이라는 확신이 들 때까지는 인내심을 갖고 현재의 통화긴축 기조를 충분히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이 총재는 이날 오전 한은에서 열린 창립 74주년 기념식에서 “섣부른 통화완화 기조로의 선회 이후 인플레이션이 재차 불안해져 다시 금리를 인상해야 하는 상황이 된다면 그때 감수해야 할 정책비용은 훨씬 더 클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예상을 웃돌아 다행이라면서도 “이런 성장 지표 뒤에는 수출과 내수의 회복세 차이가 완연하고 내수 부문별로도 체감 온도가 상이하다”고 진단했다.

최근의 인플레이션 흐름에 대해서는 “물가의 상방 위험이 커진 데다 지정학적 리스크가 여전히 존재하는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고물가·고금리로 인한 고통이 크다는 것을 잘 알지만, 물가가 제대로 안정되지 않으면 실질소득 감소, 높은 생활물가 등으로 취약계층의 어려움이 더 커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아울러 기준금리를 너무 늦게 내리면 내수 회복세 약화, 연체율 상승세 지속 등으로 인한 시장 불안이 초래될 수 있지만, 반대로 너무 일찍 내려도 물가상승률 둔화 속도가 느려지고 환율 변동성과 가계부채 증가세가 확대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인플레이션과의 싸움에서 마지막 구간에 접어든 지금, 이런 상충관계를 고려한 섬세하고 균형있는 판단이 필요하다”면서 ‘천천히 서둘러라'(Festina Lente)라는 아우구스투스 로마 황제의 정책 결정 원칙을 소개했다.

이 총재는 구조개혁을 위한 한은의 선도적 역할도 거듭 강조했다.

그는 저출생·고령화, 지역불균형과 수도권 집중, 연금 고갈과 노인 빈곤, 교육 문제, 소득·자산불평등, 노동시장 이중구조 등의 현안을 열거하며 “여러 구조적 문제들 앞에서 우리의 연구영역을 통화정책의 테두리 안에만 묶어둘 수는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한은이 우리나라 최고의 싱크탱크가 돼야 한다”며 “국가경제의 발전을 위한 청사진을 제시한다는 책임감으로 구조개혁 과제에 대해 제언하는 역할을 계속해 나가야 하겠다”고 선언했다.

한은 구성원들을 향해서는 “때로는 틀에 얽매이지 않고 능동적으로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똑똑한 이단아’가 돼 한은의 혁신을 이끌어주길 바란다”고 독려했다.

이 총재는 “논쟁과 비난을 두려워하며 피하기만 한다면 늘 그 자리에 머물 뿐 발전적 변화는 요원할 것”이라며 “고장 나 멈춰 선 시계가 하루에 두 번은 맞는다 해 이를 안정적이라고 스스로를 위안할 수는 없다”고 비유하기도 했다.

그는 “한은이 ‘한은사(寺)’에서 벗어나 ‘시끄러운 한은’으로 거듭나도록 하자는 것이 제가 취임 때부터 밝혔던 포부”라며 “지식 생산자로서의 역할을 강화해 나가야 하며, 이 과정에서 수반되는 고통과 논란은 실력으로 이겨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