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3회 이상 술을 마시는 이른바 ‘위험·고위험 음주자’가 비음주자에 비해 자살 사망 위험도가 2배 가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정영호 박사팀이 건강보험공단의 건강보험코호트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2011~2013년 자료를 분석한 <음주로 인한 자살 및 중독사망 위험도>에 따르면 20세 이상 성인에서 위험음주 및 고위험 음주로 인한 자살 사망의 위험도가 비음주자에 비해 2배가량 높게 나타났다.
분석 결과 고위험 음주자(주 5~7회 음주)는 비음주자에 비해 약 1.924배, 위험 음주자(주 3~4회 음주)의 경우는 비음주자에 비해 1.935배 높았다.
또 음주로 인한 중독사망 위험도 고위험 음주자가 비음주자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독(비의약물 물질의 독작용 : 사인분류 T51~T65) 사망 위험도의 경우 고위험 음주자는 비음주자에 비해 2.923배 높았고 위험 음주자는 비음주자에 비해 1.402배 높았다.
한편 위험 음주로 인한 자살 및 중독 사망에 따른 경제적 손실은 약 1조 5,367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 기준, 20~69세 남녀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주 3회 이상 음주로 인한 중독 및 자살 사망 소득 손실액은 약 1조 1,691억원에 달했고 중독의 조기사망에 따른 손실액은 3,675억원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정영호 박사는 “우리나라의 경우 음주로 인한 사망과 질병부담이 선진국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이다”며 “WHO나 UN차원에서는 이미 음주폐해 감소전략 차원에서의 적극적인 개입을 권고하고 있는 만큼 국내 음주관련 정책에서의 다부문적인 개입전략도 확대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이날 발표자들은 해외 선진국과 WHO의 권고안을 참조, 알코올중독 및 중독폐해를 감소시키기 위한 법제도의 내용과 제정방안을 제안할 예정이다.
◇중독포럼 4주년 기념 심포지엄 및 제5회 정신건강정책포럼 개최 안내
올해로 창립 4년을 맞는 중독포럼이 중앙정신보건사업지원단과 함께 8일(금) 서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중독포럼 4주년 기념 심포지엄 및 제5회 정신건강정책포럼>을 개최한다.
‘균형과 조절을 위한 음주폐해 예방관리정책’을 주제로 진행되는 이번 포럼에서는 알코올 문제로 인한 정신건강적·사회문화적 폐해를 진단하고 WHO 및 세계 각국에서 시행·논의 중인 음주폐해 감소전략에 대한 고찰, 알코올 등 중독예방을 위한 법제도 개선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진행된다.
1부에서는 ‘한국의 음주, 무엇이 문제인가’라는 주제로 ▲질병기여요인 산출을 통한 음주의 건강부담과 비용추계(정영호_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개인·가족·공동체에 음주문제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음주폐해 회복사례자) ▲주류마케팅 등 음주조장환경의 문제점과 청소년 음주(이복근_청소년흡연음주예방협회) ▲저가 고도주, 폭음, 만취로 이어지는 한국 음주문화의 그늘(배지영_중앙일보 기자)로 주제발표가 진행된다.
2부는 ‘균형과 조절을 위한 대안의 모색’이라는 주제로 ▲한국 음주문제의 정치경제(김명희_시민건강증진연구소) ▲다른 나라는 어떻게 음주폐해를 효과적으로 예방했나(천성수_삼육대학교 보건관리학과) ▲알코올 등 중독예방을 위한 법제도의 필요성과 방향(이해국_중독포럼)에 대한 주제발표가 이어진다.
중독포럼 이해국 상임이사는 “음주로 인한 자살과 암사망율 등 그 보건학적 폐해와 사회경제적 폐해가 상당함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알코올 정책의 경우 아직 세계적 추세에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며 “국민건강증진법 등이 금연정책 중심으로 되어 있고 음주폐해 예방과 관련해서는 광고제한과 주류용기 경고문구 정도의 내용만 포함되어 있다. 다양한 알코올중독 예방치료사업의 근거 규정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 “정책 담당자 및 전문가 집단, 시민사회 등과의 다양한 논의를 통해 해외 선진국과 WHO의 권고안대로 알코올중독 등 음주폐해를 조기에 예방, 발견하고 치료 등을 지원하기 위한 법제도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중독포럼은 중독문제에 대한 국민 아젠다 및 담론을 개발하고 국가 중독관리 주요 프로젝트 자문 및 중독분야 연구개발 등을 목표로 하는 복지부 인가 ‘중독질환 전문 연구 네트워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