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소매판매가 1995년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5개월 연속 감소하면서 통계 해석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소매판매가 줄었지만, 서비스업 매출이 지속해서 늘어나는 상황에서 소비가 과연 악화했다고 볼 수 있냐는 것이다.

즉 물건은 덜 샀지만, 서비스는 더 사고 있을 때 소비에 대한 판단의 문제다.

31일 통계청이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7월 소매판매는 전월보다 0.3% 감소했다.

올해 3월(-0.7%), 4월(-0.3%), 5월(-0.1%), 6월(-1.0%)에 이어 다섯 달째 이어진 감소다.

소매판매가 5개월 연속 감소한 것은 소매 판매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95년 이후 처음이다.

통계청은 재화의 소비를 의미하는 소매판매를 곧 소비로 해석해왔다. 통계상으로 소비가 1995년 이후 가장 나빴다고 해석하는 배경이다.

지난해 상반기 소매판매가 좋아 역기저효과를 낸 부분, 최근의 고물가·고금리에 소비에 악영향을 미친 부분도 상당한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재화와 함께 소비의 중요한 한 축을 형성하는 서비스가 반대 방향을 향하고 있다는 점이다.

7월 중 서비스업 생산은 전월 대비 0.3% 증가했다. 최근 5개월간 6월(-0.2%)을 제외하고 4개월 증가세 였다.

재화와 서비스의 소비 상황이 이처럼 극명하게 엇갈리는 것은 올해 봄 사회적 거리두기를 전면 해제한 영향으로 보는 분석이 많다.

일례로 집에서 조리하기 위한 음식료품 구매는 줄었지만, 외식은 늘어 서비스업 생산은 증가했다. 스포츠, 여가 등 대표적인 소비자 서비스도 호조세다.

7월 숙박·음식점업 생산은 4.4% 증가했고, 예술·스포츠·여가(7.3%)와 도소매업(0.8%) 생산도 함께 증가했다.

소비 통계를 둘러싼 해석이 이처럼 엇갈리자 통계청은 “소매판매가 소비 전체 데이터를 대표하지 않는다”는 판단을 내놨다.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재화는 43%, 서비스는 56% 정도 된다는 것이다.

이런 분석을 토대로 통계청은 “소비 전체로 보면 개선 흐름을 지속하는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7월 신용카드 승인액으로 보면 통계청의 분석에 무게가 실린다.

카드 국내 승인액(공과금 제외)은 지난 4월(13.8%)부터 5월(16.4%), 6월(12.5%), 7월(15.5%)에 걸쳐 5개월째 작년 동월 대비 두 자릿수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지난 5개월간 상품 소비는 주춤했지만, 서비스 소비까지 아우른 전체 민간 소비는 개선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는 해석이 가능해진다.

다만 물가 상승과 금리 인상의 여파로 향후 소비심리는 더욱 악화하고 있다.

7월 소비자심리지수는 한 달 전보다 10.4포인트 하락한 86.0으로 2020년 9월(80.9) 이후 처음으로 90을 하회했다. 지수가 100보다 낮으면 장기평균(2003∼2021년)과 비교해 소비 심리가 비관적이라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