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초·중학교 코딩교육을 필수화하고 대학 디지털분야 학부 정원 규제를 푸는 등 관련 제도를 정비해 올해부터 2026년까지 5년간 100만명의 디지털 인재를 육성하기로 했다.

산업계에서 활약할 전문인력뿐 아니라 자신의 전공 분야에 디지털 기술을 융합할 수 있는 인력, 일상에서 디지털 기술을 친숙하게 구사하는 인재 등 수준별 인재양성 정책을 추진한다.

교육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용노동부,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관계부처가 합동으로 마련한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을 22일 발표했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자료를 보면 디지털 신기술은 인공지능(AI), 일반 소프트웨어(SW), 빅데이터, 메타버스, 클라우드, 사물인터넷, 사이버보안 관련 기술을 포함한다. 디지털 인재는 이런 디지털 신기술을 개발·활용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역량을 갖춘 인재를 뜻한다.

2021년 정부 재정사업 기준으로 디지털 인재는 약 9만9천명이었다. 다양한 정책을 활용해 2022∼2026년 5년간 100만명의 디지털 인재를 길러내는 게 목표다.

정부는 우선 전문인재를 키워내기 위해 대학이 교원확보율만 충족하면 디지털분야 학부 정원을 늘릴 수 있도록 한다. 기존에 반도체 부문에 적용하던 규제 개선안을 확대 적용하는 것이다.

4단계 두뇌한국21(BK21) 사업을 통해 연구인력을 육성하고, AI·메타버스·사이버보안·빅데이터 등 디지털분야 대학원도 늘린다.

21개 분야 ‘디지털 혁신공유대학’과 신산업 특화 전문대학’ 사업을 확대하고, 2027년까지 SW중심대학도 100곳을 지정해 첨단분야 전공 인력을 늘린다.

영재학교·과학고 대상 SW·AI 특화 교육과정을 올해부터 시범운영하고, 영재학급도 확대한다.

디지털분야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마이스터고)를 늘리고, 직업계고 학생을 대상으로 한 채용연계형 직무교육과정도 신설한다.

정부는 자신의 전공 분야에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는 것을 돕기 위해 대학과 민간이 연계한 집중연계 교육과정(부트캠프)도 내년에 도입한다.

첨단분야 취업을 원하는 대학생이 1학년에는 진로탐색, 2∼3학년에는 연계기업 맞춤형 교육과정을 거치고 4학년에 부트캠프 과정을 수료한 뒤 취업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지역별 우수 전문대학을 직업전환교육기관으로 지정해 운영하고 재직자와 은퇴자에 대한 디지털 역량 강화훈련도 확대하는 한편, 기업이 자체 디지털 교육과정을 운영할 경우 다양한 혜택을 준다.

전문 인재는 아니지만 일상에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인재를 키우기 위해서는 대학혁신지원사업 등을 통해 교양수업 같은 디지털 교육 확대를 독려하고, 병사의 자기 계발과 전역 후 취·창업을 돕기 위한 디지털 온라인 교육도 제공한다.

정부는 이와 별도로 디지털 교육의 저변도 확대한다.

초등학교 정보선택과목 도입, 중·고교 개설과목 확대, 초·중학교 코딩교육 필수화를 통해 정보교육 수업시수도 늘린다. 2025학년도부터 적용되는 2022 교육과정 개정을 통해 초등학교는 정보수업을 34시간 이상(현행 17시간), 중학교는 68시간 이상(현행 34시간) 편성하게 된다.

학생 발달단계에 따른 체험·탐구 중심의 코딩교육을 초·중학교에서 필수화하고 유아 교육과정 운영 시 디지털 기반 놀이 환경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등 유·초·중등 SW·AI 교육을 확대한다.

오석환 교육부 기획조정실장은 코딩교육 필수화와 관련해 “초등교육 과정에서는 놀이 중심의 알고리즘 체험학습이나 블록 기반의 컴퓨터 언어 경험을 해보는 것”이라며 “중학교에는 실생활에서의 문제해결, 고등학교 단계쯤 되면 문제해결 알고리즘 설계 같은 부분을 좀 더 직업세계와 연계될 수 있도록 코딩 교육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AI 교육역량을 강화한 ‘AI교육 선도학교’를 올해 1천개교에서 2027년 2천200개교로, 지역 내 SW·AI 교육 거점고 역할 하는 ‘AI 융합교육 중심고’를 올해 57곳에서 2026년 180곳으로 지속해서 확대한다.

이런 고교 등을 통해 정보·컴퓨터 공동교육과정을 지원하고, 개별학교에서 개설이 어려운 과목을 개방해 운영하는 ‘(가칭)온라인 고교’를 신설할 예정이다.

2024년부터 3년 주기로 성인 디지털역량 진단조사를 실시하고, 농어촌 초등학교 1천809곳에 ‘디지털 튜터’를 배치한다.

재직자와 퇴직자 등 민간전문가를 대학 교수로 활용하기 위한 규제 개선을 추진하고, 디지털 인재양성 정책과 사업·연구를 총괄 지원하는 전문기관도 지정한다.

교육부는 현재 디지털 인재 양성과 관련해 진행중인 80여개 사업에 3조800억원가량을 투자하고 있으며 이번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을 시행하기 위해 재정당국과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장상윤 교육부 차관은 “다양한 인재들이 디지털 전문성을 갖추도록 지원하고, 모든 국민이 기초소양으로서 디지털 역량을 충분히 갖출 수 있도록 생애 전 주기에 걸쳐 교육 체제를 정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