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표 쓰고 싶다! 직장인 10명 중 9명 퇴사충동 속에 일한다.

사표 쓰고 싶다! 직장인 10명 중 9명 퇴사충동 속에 일한다.

심각한 취업난 속에서도 취업준비생 10명 중 7명 정도는 지원했던 기업으로부터 입사 합격통지를 받고서도 입사 결정을 내리지 못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잡코리아(대표이사 윤병준)가 알바몬과 함께 남녀 취업준비생 1,5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설문에 참여한 취업준비생 중 72.5%가 입사 합격 통보 후 해당기업 입사에 대해 고민했던 적이 있다고 답한 것. 특히 취준생들이 합격 통보를 받은 후 입사결정을 내리지 못했던 경험은 지원했던 기업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이번 잡코리아 조사에 따르면 △중소기업 입사지원자의 경우 합격 통보를 받고 입사 고민을 했던 경험이 있다는 비율이 81.4%로 가장 높았으며, △대기업 64.8% △외국계기업 61.3% △공기업 44.4%로 공기업은 중소기업 지원자들의 절반 정도 수준에 그쳤다. 이들이 지원했던 기업으로부터 합격 통보를 받고도 입사지원을 결정하지 못했던 이유로는 △생각한 것과 상이한 직무 때문이란 응답이 29.2%로 가장 높았으며, 근소한 차이로 △낮은 연봉 때문이란 응답도 25.5%로 비교적 높았다. 이 외에 △노후한 근무환경(11.3%) △개인 사유(9.5%) △직원들 분위기(9.4%) △업무량(6.9%) △면접관 태도(5.7%) 등의 이유로 입사결정을 내리지 못했던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여성 취준생들 중에서는 생각했던 것과 다른 직무 때문에 입사결정을 못했다는 응답이 31.0%로 가장 높았으며, 남성들은 연봉(29.4%) 때문에 고민했던 경험이 가장 많아 차이가 있었다. 한편, 구직자들은 면접을 보면서 지원한 회사에 대한 분위기 등을 파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잡코리아 조사결과, 74.9%가 면접을 보면 지원한 회사가 △어느 정도 판단이 된다고 답했으며, △확실히 판단된다는 응답도 18.4%나 됐다. 반면 △판단하지 못한다는 응답은 6.7%에 불과했다. 면접 시 파악되는 지원 회사의 대한 점으로는 △회사의 근무 분위기가 75.6%로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다음으로 △면접관의 성향 10.0% △기업의 발전 가능성 7.3% △CEO의 경영철학 6.6% 등의 순이었다.

직장인 10명 중 9명은 퇴사충동을 느낀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인들이 꼽은 퇴사충동을 느끼는 사유 1위는 ‘박봉과 열악한 근무환경’ 탓인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포털 잡코리아(대표 윤병준)가 최근 직장인 1,139명을 대상으로 ‘퇴사충동을 느끼는 순간’을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잡코리아 설문조사에서 직장인 94.5%가 근무 중 퇴사충동을 느껴본 적이 있다고 답했다. 성별, 결혼 여부, 자녀 유무 등 응답군에 따른 응답 차이는 크지 않았다. 상대적으로 퇴사충동을 많이 느꼈던 그룹은 ▲워킹대디(96.9%)와 ▲워킹맘(96.7%)이었으며, ▲자녀가 없는 기혼남성 그룹은 퇴사충동을 느꼈다는 비중이 86.0%로 전체 응답군 중 가장 낮아서 눈길을 끌었다.

그렇다면 직장인들은 언제 가장 퇴사충동을 느낄까? 잡코리아에 따르면 직장인들이 가장 퇴사충동을 느끼는 순간은 ‘낮은 급여, 나쁜 복리후생 등 열악한 근무환경을 깨달았을 때(30.9%)’였다. 이어 ‘상사, 동료, 부하직원과의 관계가 원만치 않을 때(16.4%)’, ‘일이 재미없고, 적성에 맞지 않을 때(13.9%)’가 나란히 퇴사충동을 느끼는 순간 2, 3위에 올랐다. ‘반복되는 야근, 격무에 시달릴 때(10.5%)’, ‘회사에 비전이 없다고 느낄 때(10.4%)’도 퇴사충동을 느끼는 순간 5위 안에 들었다.

퇴사충동 사유로 ‘박봉과 열악한 근무환경’을 1위로 꼽는 데는 대부분의 응답군에서 이견이 없었다. 다만 자녀가 있는 기혼여성, 즉 ▲워킹맘 그룹에서만 ‘박봉’이 퇴사충동 사유 3위로 밀려 눈길을 끌었다. 워킹맘들은 박봉보다는 ‘살림과 육아, 일을 병행하는 것이 힘에 부친다고 느낄 때(21.8%)’와 ‘아픈 아이, 어린 자녀를 두고 출근할 때(20.2%)’를 퇴사충동 순간 1, 2위에 꼽았다. 반면 ▲워킹대디 그룹에서는 ‘낮은 급여(27.3%)’와 ‘승진 누락, 나쁜 고과(18.2%)’가 퇴사충동을 느끼는 주요 이유로 꼽혔다.

또 똑같이 기혼인 경우에도 살림과 육아에 따른 스트레스가 퇴사충동으로 이어지는 비중은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즉 퇴사충동 사유로 ‘살림 및 육아, 일의 병행’을 꼽는 응답은 기혼 남성(2.6%)보다 기혼여성(17.8%)에게서 6.8배나 높게 나타났다.

이처럼 많은 직장인들이 퇴사충동을 느끼면서도 일을 하는 이유는 안타깝게도 ‘돈’이었다. 잡코리아에 따르면 퇴사충동을 느껴봤다고 답한 직장인의 47.6%가 ‘어쨌든 돈은 벌어야 하니까’를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을 계속하는 이유로 꼽았다. 퇴사충동 속에서도 직장생활을 계속하는 이유 2위는 ‘더 괜찮은 직장을 알지 못해서(17.8%)’가 차지했으며, ‘이직 기회를 잡지 못해서(16.8%)’가 그 뒤를 이었다. ‘일시적으로 드는 충동적인 생각일 뿐이라서’를 꼽는 응답은 12.2%에 그쳤다.

퇴사충동을 느낄 때 직장인 5명 중 2명은 이직을 준비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잡코리아가 직장인들에게 퇴사충동을 느낄 때 어떻게 행동하는지를 묻자 30.3%가 ‘채용공고를 찾아보는 등 적극적으로 이직을 준비한다’고 답했으며, 13.5%는 ‘기업이 열람할 수 있도록 이력서를 공개해 두는 등 소극적으로 이직을 준비한다’고 답했다. ‘사표를 던진다’고 답한 직장인은 1.4%에 그쳤다. 반면 견디고 마음을 추스르는 직장인도 적지 않았다. 조사에 참여한 직장인의 20.2%는 ‘가족을 생각하며 버틴다’고 답했고, ‘휴가나 여행 등 조금 쉬면서 마음을 재정비 한다(18.7%)’, ‘동료들과 회포를 풀며 잊는다(9.3%)’ 등의 응답도 적지 않았다.